본문 바로가기
서른두살경제공부필수

알기쉬운 주식용어 정리) 같이 공부해요!

by 친근한윈드 2020. 3. 26.

 

안녕하세요 ! 윈드입니다.

요즘 아침저녁으로 경제방송 삼프로tv를 듣고있습니다.

저같은 초보는 들어도 50% 이해할까 말까인데요

이유는 프로님들이랑 전문가님들께서 어려운 경제용어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공부를 해야하는 것입니다 여러분

그래서 저는 모르는 단어는 적어두었다가

찾아보는 방법을 택했구요. 어차피 공부하는거

같이 공부하면 어떨까 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랄께요💪

(틀릴수도 있으니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달아주세요)

 

1.하이일드본드(high yield) :고위험 펀드. 고수익을 기대할수있으나 고위험도 강한 채권

2.하이일드스프레드 : 신용도가 높은기업과 낮은 기업의 채원금리차이

3.정크본드(junk 쓰레기 bond 채권) : 신용등급이 바닥으로 떨어진 고위험.고수익 채권. 

4.PMI (서비스업구매관리자지수) :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신규 주문, 생산, 재고, 출하 정도, 지불 가격, 고용 현황 등을 조사한 후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 0~100 사이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PMI가 흔히 50 이상이면 경기의 확장, 50 미만일 경우에는 수축을 의미한다.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구매자관리지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이것은 실물경기 추락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5.안전자: 위험이 없는 금융자산

 안전자산의 종류 : 금/달러/엔화

 *위기상황에서 안전자산의 신뢰도가 높아져

수요가 올라감. 현금을 최우선으로 하게 됨

 

6.달러인덱스 : 달러의 흐름을 보여주는 지수 

7.회사채 :  기업이 시설투자나 운영 등의 장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기업은 채권을 발행함으로써 사채업자에게 채무를 부담하고 이자를 정기적으로 지급해야 하며 약속된 기일에 원금을 상환해야 한다. 회사채가 주식과 다른 점은 일정한 상환기한이 있고, 기업이익의 유무에 상관없이 확정이자를 지급해야 하며, 회사 해산의 경우에는 잔여재산분배에 주식보다 앞서 상환된다는 점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회사채 [corporate bond] (한경 경제용어사전)

 

확실하게 알고가자구요 

성투해요 우리! 화이팅 ! 

 

 

댓글